반응형 전체 글464 [파이썬 강의] 20. 자료구조 - 딕셔너리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이 있습니다. 또 사람들이 파이썬을 더 편하게 쓰기위해 만들어낸 자료구조로 Array, Series, DataFrame 이 있습니다. - 리스트 - 튜플 - 딕셔너리 - 집합 - Array (넘파이 패키지) - Series (판다스 패키지) - DataFrame (판다스 패키지) 오늘 배워볼 자료구조는 딕셔너리(Dictionary) 입니다. 딕셔너리는 '사전'이라는 뜻입니다. 사전은 단어-뜻의 대응관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딕셔너리 자료구조도 이와 비슷합니다. 한가지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사람 이름과 나이 데이터입니다. 김정빈 75세 박한지 56세 임호정 23세 위 데이터로 딕셔너리 자료구조를 정의해봅시다. 리스트는 대괄호, 튜플은 .. 2021. 10. 7. [파이썬 강의] 19. 자료구조 - 튜플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이 있습니다. 또 사람들이 파이썬을 더 편하게 쓰기위해 만들어낸 자료구조로 Array, Series, DataFrame 이 있습니다. - 리스트 - 튜플 - 딕셔너리 - 집합 - Array (넘파이 패키지) - Series (판다스 패키지) - DataFrame (판다스 패키지) 오늘 배워볼 자료구조는 튜플(tuple) 입니다. 튜플은 리스트처럼 값들을 순서가 있게 나열해 놓은 것입니다. 리스트와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리스트는 원소를 수정할 수 있지만 튜플은 불가능함" 원소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mutable(가변),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immutable(불변) 이라고 합니다.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리스트.. 2021. 10. 7. [파이썬 강의] 18. 리스트의 덧셈과 곱셈 리스트 두개를 더하면 어떻게 될까요? 여기서 더한다는 것은 덧셈이라는 연산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덧셈기호인 + 를 연산자라고 부릅니다. 파이썬에는 아주 다양한 연산자가 존재합니다. 이후에 배우게될 것입니다. 덧셈정도는 다들 알고 있으니 리스트에 적용해봅시다. 리스트를 두개 정의하고 더해주었습니다. >>> list1=[1,2,3] >>> list2=['a','b','c'] >>> >>> list1+list2 [1, 2, 3, 'a', 'b', 'c'] 자연스럽나요? 리스트를 '목록'이라고 생각하고, 두 목록을 더했을때 나온 결과라고 생각하면 자연스럽습니다. 리스트 사이의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연산은 불가능합니다. >>> list1-list2 Traceback (most recent call l.. 2021. 10. 7. [파이썬 강의] 17. 리스트 원소 추가 (두 가지 방법) 1) 맨 뒤에 원소 추가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ist1=[1,2,3] >>> list1 [1, 2, 3] 맨 뒤에 원소를 추가할 때는 append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list1.append(4) >>> list1 [1, 2, 3, 4] 2) 원하는 위치에 원소 추가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ist1=[1,2,3] >>> list1 [1, 2, 3] 원하는 위치에 원소를 추가할 때는 insert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인덱스 2 자리에 100을 추가해봅시다. >>> list1.insert(2,100) >>> list1 [1, 2, 100, 3] 2021. 10. 7. [파이썬 강의] 16. 리스트 원소 삭제 (두가지 방법) 리스트의 원소를 삭제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원소의 인덱스를 입력하여 삭제하는 방법과, 원소 이름을 입력하여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인덱스 입력하여 삭제(pop)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ist1=['a','b','c'] >>> list1 ['a', 'b', 'c'] 인덱스를 입력하여 삭제할 때는 pop 이라는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메소드가 뭔지 아직 안배운 상태인데요. 변수에 .을 입력하고 뒤에 붙는 것이 메소드입니다. 나중에 자세히 배우겠습니다. >>> list1.pop(0) 'a' >>> list1 ['b', 'c'] 2. 원소 이름을 입력하여 삭제(remove)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ist1=['a','b','c'] >>> list1 ['a', 'b', 'c'] .. 2021. 10. 7. [파이썬 강의] 15. 리스트 원소 수정 리스트의 원소를 수정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인덱싱과 슬리이싱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원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1. 인덱싱을 이용한 수정 리스트를 하나 정의해봅시다. >>> list1=[1,2,3,4,5] >>> list1 [1, 2, 3, 4, 5] 세번째 원소를 30으로 바꿔봅시다. 인덱싱으로 접근한 후 30을 입력하면 됩니다. >>> list1[2]=30 >>> list1 [1, 2, 30, 4, 5] 2. 슬라이싱을 이용한 수정 리스트를 하나 정의해봅시다. >>> list2=['a',1,'b',2] >>> list2 ['a', 1, 'b', 2] 첫번째원소를 'aa'로, 두번째 원소를 10으로 바꿔봅시다. >>> list2[0:2]=['aa',10] >>> list2 ['aa', 10, 'b', .. 2021. 10. 7. [파이썬 강의] 14.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배워봅시다. 리스트 안에 자료형만 있는 경우와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있는 경우로 나눠서 배워봅시다. 1. 리스트 안의 자료형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list1=[2,2.5,3+2j,'hi',True] 인덱싱과 슬라이싱의 원리는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에서 이미 배웠습니다. 번호는 아래와 같이 붙일 수 있습니다. 괄호 안이 번호입니다. (0) 2 (1) 2.5 (2) 3+2j (3) 'hi' (4) True (5) (-5) 2 (-4) 2.5 (-3) 3+2j (-2) 'hi' (-1) 두번째 원소인 2.5에 접근해봅시다. 아래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list1[1] 2.5 >>> list1[-4] 2.5 이번에는 아래와 같이 슬라이싱으로 두번째 원소에 접근해봅시.. 2021. 10. 7. [파이썬 강의] 13. 자료구조 - 리스트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이 있습니다. 또 사람들이 파이썬을 더 편하게 쓰기위해 만들어낸 자료구조로 Array, Series, DataFrame 이 있습니다. - 리스트 - 튜플 - 딕셔너리 - 집합 - Array (넘파이 패키지) - Series (판다스 패키지) - DataFrame (판다스 패키지) 오늘 배워볼 자료구조는 리스트입니다. 이름을 참 잘 지었습니다. 리스트는 우리말로 '목록'입니다. 리스트는 입력하기 원하는 것들을 목록처럼 나열해놓은 자료구조입니다. 대괄호를 이용하고 원소들을 콤마로 구분합니다. 1,2.1,2+3j,True,'hi' 로 구성된 리스트를 정의해봅시다. >>> list1=[1,2.1,2+3j,True,'hi'] >>> list1.. 2021. 10. 7. [파이썬 강의] 12. 파이썬 쉘에서 스크립트 실행하기 코드 양이 많은 경우 미리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파이썬에서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파이썬 쉘에서 [File]-[New File] 을 누르면 새스크립트 창이 열립니다.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을 해줍시다.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Run]-[Run Module]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클릭하면 파이썬쉘 반영됩니다. 파이썬 쉘에 a를 입력해보면 a=3이라는 위 스크립트가 실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1. 10. 7. [파이썬 강의] 11. 자료형 요약하기 (숫자,문자,논리) 우리는 지금까지 세가지 자료형을 배웠습니다. 숫자형, 문자열, 논리형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표로 정리해봅시다. 숫자형 문자열 논리형 원소 정수,실수,복소수 문자 True,False 타입 - 정수 : int - 실수 : float - 복소수 : complex str bool 인덱싱 X O X 원소 수정/삭제/추가 X X X 변환함수 int( ) float( ) complex( ) str( ) bool( ) 그 외 특징 - 복소수 정의 시 j 사용 - complex(실수부,허수부) 를 이용하여 복소수 정의 가능 - 길이 확인시 len( ) 사용 True는 1, F alse는 0의 값을 가짐 2021. 10. 7. [파이썬 강의] 10. 자료형들 간의 변환 우리는 지금까지 세가지 자료형을 배웠습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숫자형을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이 다섯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int float complex str bool 타입들 간에 변환 함수는 위 이름과 같습니다. 예를들어 봅시다. 정수하나를 정의하고 문자열로 바꿔보겠습니다. >>> a=3 >>> type(a) >>> b=str(a) >>> type(b) str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려고 시도해봅시다. >>> a='b' >>> int(a)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int(a)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b' 문자열을 정수로 바.. 2021. 10. 7. [파이썬 강의] 9. 자료형 - 논리형 파이썬 자료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이번 시간에는 논리형에 대해 배워봅시다. 논리형에는 True와 False라는 두개의 값만 존재합니다. 부울형 또는 불리언형이라고 부릅니다. 부울은 boole, 불리언은 boolean 입니다. 부울 대수를 창안한 조지 불(George Boole)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부울 대수는 명제의 참거짓을 이용하는 수학의 한 분야입니다. 숫자형과 문자형의 필요성은 너무 자명한데요. 논리형은 왜 필요한지 의문이 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논리형이 주로 사용되는 곳은 비교연산입니다. 논리형은 비교연산의 결과값으로 사용됩니다. 비교연산은 나중에 다룰것인데, 하나만 먼저 배워봅시다. == 는 좌변과 우변이 같다는 뜻입니다. 아래 연산을 봅시다. 2==3 .. 2021. 9. 28. [파이썬 강의] 8. 문자열 요소 변경하다 실패하기 지난시간에 배운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문자열의 요소를 변경할 수 있을것 같죠? 문자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a='python' >>> a 'python' 첫글자를 b로 바꿔봅시다. >>> a[0]='b'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a[0]='b' TypeError: 'str'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안바뀝니다. 문자열에서는 인덱싱을 이용하여 요소를 변경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자료구조중에 리스트를 배우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문자열 원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배워봅시다. 2021. 9. 28. [파이썬 강의] 7.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과 슬라이싱은 원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문자열에서 원소는 한 칸에 입력된 값을 의미합니다. 영어에서는 알파벳 하나, 한글에서는 글자 하나 입니다. 인덱싱은 하나의 원소에 접근하고, 슬라이싱은 여러 원소에 접근합니다. 인덱스는 '표시, 지침'이라는 뜻입니다. 인덱싱은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너' 이렇게요. 슬라이스는 '부분,조각'이라는 뜻입니다. 슬라이싱은 한 부분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1. 인덱싱 문자열을 하나 정의해봅시다. a='python' 첫번째 원소인 p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 a[0] 'p' 여기서 인덱스는 아래와 같이 매겨집니다. [0] p [1] y [2] t [3] h [4] o [5] n [6] 번호 바로 오른쪽에 있는 원소가 출력되는 원리입니다... 2021. 9. 27. [R강의] 125. 엑셀의 vlookup 기능 구현 엑셀 vlookup 기능을 알고 있다고 전제하고 진행합니다.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글 참고해주세요. https://statools.tistory.com/267 [엑셀 통계] 62. vlookup vlookup 에서 v는 vertical 입니다. vertical은 세로의 라는 의미인데 세로방향은 '열'입니다. vlookup 함수는 특정 열에서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아래와 같이 수 statools.tistory.com vlookup 함수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vlookup 함수에서는 먼저 적용할 대상을 고르는데 이는 행을 고르는 것과 같습니다. 행을 고르고 이 행에 해당되는 특정 열의 값을 최종적으로 선택합니다. 같은 과정을 R에서 해보겠습니다. 먼저 .. 2021. 9. 27. [엑셀 통계] 62. vlookup vlookup 에서 v는 vertical 입니다. vertical은 세로의 라는 의미인데 세로방향은 '열'입니다. vlookup 함수는 특정 열에서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아래와 같이 수학점수 데이터가 있습니다. 우리는 박선우와 민찬서의 수학점수 데이터를 가져오고 싶습니다. 이때 vlookup 기능을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형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체 데이터는 절대경로로 입력합니다. 열번호는 전체 데이터에서 왼쪽부터 1열입니다. VLOOKUP(찾을 값, 전체 데이터, 열 번호, 일치옵션) 위 예제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VLOOKUP(누구의 수학점수가 궁금한가요?, 전체 데이터, 수학점수는 몇번째 열인가요?, 일치옵션) 일치옵션은 0을.. 2021. 9. 27. [파이썬 강의] 6. 문자열 길이 확인 len( )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정의한 뒤에 길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 함수가 len 함수입니다. 함수가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은 len 이라는 기능이라고 생각하고 일단 사용합시다. 함수는 이후에 배우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공백을 문자 하나로 인식합니다. >>> a='파이썬 너무 좋아' >>> len(a) 9 영어도 동일합니다. >>> b='python is good' >>> len(b) 14 2021. 9. 27. [파이썬 강의] 5. 문자열 안에 따옴표 사용하기 파이썬 "너무" 좋아 라는 문자열을 입력하고 싶다고 합시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파이썬 "너무" 좋아" SyntaxError: invalid syntax 파이썬이 인식하기로 "파이썬 " 이 하나의 문자열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파이썬이 보기에 너무는 아무 따옴표도 없이 입력된 것입니다. 이런 경우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 '파이썬 "너무" 좋아' '파이썬 "너무" 좋아'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2021. 9. 27. [파이썬 강의] 4. 자료형 - 문자열 파이썬 자료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이번 시간에는 문자열에 대해 배워봅시다. 문자열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존재하는 자료형입니다.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정의합니다. >>> a='hi hello' >>> a 'hi hello' 이번에는 큰따옴표롤 이용하여 문자열을 정의해봅시다. 출력은 작은따옴표로 됩니다. >>> b="python is good" >>> b 'python is good' 타입을 확인해봅시다. >>> type(a) 2021. 9. 27. [파이썬 강의] 3. 자료형 - 숫자형 파이썬 자료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이번 시간에는 숫자형에 대해 배워봅시다. 숫자형은 정수, 실수, 복소수 세가지로 나뉩니다. 그 외에도 2진수, 8진수, 16진수도 있는데 여기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나중에 필요한 상황이 생기면 그때 배우도록 합시다. R의 경우는 정수를 입력할 때 뒤에 L을 붙여야 합니다. 파이썬은 알아서 인식합니다. 변수 a에 3을 입력해봅시다.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type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 a=3 >>> type(a) 소수점을 입력하면 실수로 인식합니다. >>> b=3.1 >>> type(b) 복소수는 허수부분에 j를 붙여서 입력합니다. >>> c=2+9j >>> type(c) 복소수는 아래와 같이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 2021. 9. 27. [파이썬 강의] 2. 자료형과 자료구조 큰그림 그리기 자료형과 자료구조의 큰그림을 그리는 강의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어지는 강의에서 할 예정이고 본 강의는 얕고 넓게 조망하는 강의입니다. 파이썬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는 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적인데요. 파이썬이 통계분석을 하게 하려면 자료를 파이썬에 입력해야합니다. 자료형 파이썬에 입력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자료의 형태는 줄여서 자료형이라고 부릅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위 세가지가 기본 자료형인데, 이건 컴퓨터 프로그램을 불문하고 다 비슷합니다. 숫자형은 정수,실수,복소수로 나눠집니다. 문자열은 문자들의 나열입니다.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은 논리형인데요. 숫자형과 문자열은 우리가 현실에서도 쓰는 반면 논리형은 생소한 분들도 계실겁니다. 논리형은 T.. 2021. 9. 27. [엑셀통계] 61. 엑셀에서 $로 수식고정 쉽게하는 법(F4) 엑셀에서 수식에 입력된 셀을 고정하는 방법은 $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경우 C7과 C8만 고정됩니다. 수식의 셀 고정을 쉽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F4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수식에서 고정하기 원하는 만큼 선택하고 F4를 눌러줍니다. F4 누르기 2021. 9. 25. [R 코드 모아보기] 카이제곱검정 관련 모든 코드 (비모수 포함) @목차 카이제곱검정 카이제곱검정(Yates' correction) 피셔의 정확검정 카이제곱검정, 피셔의정확검정, 오즈비 한번에 출력 카이제곱검정의 사후검정(bonferroni) 카이제곱검정 #data는 행렬형태 #카이제곱검정 chisq.test(data,correct=FALSE) 카이제곱검정(Yates' correction) #data는 행렬형태 #카이제곱검정 chisq.test(data) 피셔의 정확검정 #data는 행렬형태 #기대빈도가 5미만인 셀이 20%이상인 경우 수행 #카이제곱검정 chisq.test(data) 카이제곱검정, 피셔의정확검정, 오즈비 한번에 출력 #패키지 library(epitools) #data는 행렬형태 #검정 oddsratio.wald(data) 카이제곱검정의 사후검정(bon.. 2021. 9. 10. [R 코드 모아보기] t검정 관련 모든 코드 (비모수 포함) @목차 일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등분산 가정) 독립표본 t검정 (이분산 가정) 대응표본 t검정 윌콕슨 순위합 검정 (독립표본, 비모수)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대응표본, 비모수) 일표본 t검정 #data는 벡터형식 #pmean은 모집단평균 #양측검정 t.test(data,mu=pmean) #단측 우측꼬리검정 t.test(data,mu=pmean,alternative="greater") #단측 좌측꼬리검정 t.test(data,mu=pmean,alternative="less") 독립표본 t검정 (등분산 가정) #data1과 data2는 벡터형식 #양측검정 t.test(data1,data2,var.equal=TRUE) #단측 우측꼬리검정 t.test(data1,data2,var.equal=TRUE,a.. 2021. 9. 9. [R 코드 모아보기] 등분산검정 6가지 @목차 F-test Levene's test Brown-Forsythe test Bartletts' test Box's M test Goldfeld-Quandt test F-test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 #data는 x열과 y열의 데이터프레임 #등분산검정 var.test(y~x,data) Levene's test (일반적으로 사용)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 #x는 factor 여야함!!! #data는 x열과 y열의 데이터프레임 #car 패키지 설치 #등분산검정 leveneTest(y~x,data,location="mean") Brown-Forsythe test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 #data는 x열과 y열의 데이터프레임 #등분산검정 levene.test(y~x,data,loc.. 2021. 9. 9. [R 코드 모아보기] 정규성 검정 5가지 @목차 KS test LF test CVM test AD test SW test KS test (Kolmogorov-sminov test) #데이터는 벡터형식입니다. ks.test(data,pnorm) LF test (Lilliefors test) #데이터는 벡터형식입니다. #패키지 불러오기 library(nortest) #정규성검정 lillie.test(data) CVM test (Cramer-von Mises test) #데이터는 벡터형식입니다. #패키지 불러오기 library(nortest) #정규성검정 cvm.test(data) AD test (Anderson-Darling test) #데이터는 벡터형식입니다. #패키지 불러오기 library(nortest) #정규성검정 ad.test(data) .. 2021. 9. 9. [R 코드 모아보기] 사후검정 4가지 @목차 Tukey test Scheffe test Games-Howell test Bonferroni test Tukey #data 는 x열 y열이 있는 데이터프레임 #분산분석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 res=aov(y~x,data) #사후분석 TukeyHSD(res) Scheffe #data 는 x열 y열이 있는 데이터프레임 #패키지 library(agricolae) #분산분석 (x는 독립변수, y는 종속변수) res=aov(y~x,data) #사후분석 scheffe.test(res,"x",console=TRUE) Games-Howell #data 는 x열 y열이 있는 데이터프레임 #패키지 library(rstatix) #사후분석 games_howell_test(data,y~x) Bonferr.. 2021. 9. 9. [R강의] 124. 카이제곱검정 하는 방법 (+ Yates' continuity correction 무엇인가) 카이제곱 검정 설명 카이제곱검정은 그룹들의 비율을 비교하는 검정입니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 범주형 데이터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성별에 따라 무서운 영화를 좋아하는 비율을 조사하여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러한 표를 분할표라고 부릅니다. 남자 집단의 무서운 영화 선호비율과 여자 집단의 무서운영화 선호비율을 비교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비율 비교입니다. 독립변수는 성별입니다. 성별은 '남' '여' 두 값을 갖는 범주형자료입니다. 종속변수는 선호여부입니다. 선호여부는 '호' '불호' 두 값을 갖는 범주형자료입니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귀무가설 = 성별에 따른 무서운영화 선호비율은 같다. 귀무가설 = 성별에 따른 무서운영화 선호비율은 다르다. 기.. 2021. 9. 9. [R강의] 123. 사후검정 (Tukey test) 세 집단 A,B,C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했고 결과 유의차가 있게 나왔다고 합시다. 분산분석에서 유의차가 있다는 것은 세 집단의 평균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는 말입니다. 셋다 다른 것인지, 아니면 특정 두 집단만 다른 것인지는 분산분석만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사후분석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사후분석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후분석 실습 지난 강의의 분산분석 데이터와 코드를 가져옵시다. library(readxl) dt 2021. 9. 9. [엑셀 통계] 60. 분산분석 하는 법 (일원분산분석) 분산분석이란? 여기서 말하는 분산분석은 일원분산분석을 말합니다. 분산분석은 세 집단 이상의 평균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A,B,C 반의 수학점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분산분석의 귀무가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귀무가설 : 모든 그룹의 평균은 같다. 대립가설 : 평균이 서로 다른 그룹이 존재한다. 귀무가설이 기각된다는 것은 세 집단의 평균이 전부 같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분산분석 만으로는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는 없습니다. 이를 알기 위해 하는 분석이 '사후분석'입니다. 엑셀에서는 사후분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분산분석의 종류 분산분석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오늘 살펴볼 예시는 '일원 분산분석'입니다. 분산분석의 조건 분산분석은 아래 세가지 조건을 만족한 경우 사.. 2021. 9.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