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드 양이 많은 경우 미리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파이썬에서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파이썬 쉘에서 [File]-[New File] 을 누르면 새스크립트 창이 열립니다.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을 해줍시다.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Run]-[Run Module]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클릭하면 파이썬쉘 반영됩니다.

파이썬 쉘에 a를 입력해보면 a=3이라는 위 스크립트가 실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파이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의] 14.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21.10.07 |
---|---|
[파이썬 강의] 13. 자료구조 - 리스트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11. 자료형 요약하기 (숫자,문자,논리)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10. 자료형들 간의 변환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9. 자료형 - 논리형 (0) | 2021.09.28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