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엑셀에서는 유효숫자가 최대 15개까지만 표시됩니다.
12345를 네번 입력했는데 15개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는 0으로 바뀝니다.

엑셀에서는 IEEE 754 라는 부동소수점 표기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
숫자형식을 포기한다면 여러자리를 입력할 수는 있습니다. 앞에 '를 입력하거나, 텍스트 형태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엑셀 > 도구 엑셀로 푸는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통계] 58. 공백 제거하는 방법 (0) | 2021.08.12 |
---|---|
[엑셀 통계] 57. 합이 일정한 임의의 숫자들을 추출하는 방법 (실수편) (3) | 2021.07.14 |
[엑셀 통계] 55. 생년월일 날짜로 바꾸는 법 (ex. 20201111 -> 2020-11-11) (0) | 2021.05.14 |
[엑셀 통계] 54. 모평균 구간추정,신뢰구간 (모분산이 알려진 경우) (0) | 2021.05.09 |
[엑셀 통계] 53. 엑셀로 파레토차트 그리는 방법 (0) | 2021.05.07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