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차수열 배열을 생성할 때는 넘파이 패키지의 arange 함수를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np.arange(시작값,끝값,간격)
시작값이상이고, 끝값 미만인 배열이 생성됩니다. 끝항 '미만'이라는 것을 기억합시다. 구간으로는 [첫항,끝항) 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열린구간입니다.
예를들어봅시다.
np.arrange(1,6,2) 라고 입력하면 얼마가 반환될까요. 1부터 2씩 늘려가는 것이니까. 1 3 5 가 생성됩니다.
>>> import numpy as np
>>> np.arange(1,6,2)
array([1, 3, 5])
하나의 값만 입력할 경우 첫항이 0이고 길이가 입력값인 배열이 생성됩니다.
>>> np.arange(5)
array([0, 1, 2, 3, 4])
반응형
'파이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의] 73. 배열 원소의 합 (0) | 2021.10.27 |
---|---|
[파이썬 강의] 72. 두 값과 원하는 개수를 지정하는 등차수열 (0) | 2021.10.27 |
[파이썬 강의] 70. 모든 값이 지정값인 배열 원하는 크기로 만들기 (full) (0) | 2021.10.25 |
[파이썬 강의] 69. 모든 값이 1인 배열 원하는 크기로 만들기 (ones) (2) | 2021.10.25 |
[파이썬 강의] 68. 모든 값이 0인 배열 원하는 크기로 만들기 (zeros) (0) | 2021.10.25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