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덱싱2 [파이썬 강의] 23. 딕셔너리 value에 접근하기 인덱싱이라고 부르긴 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인덱싱이 아닙니다. 리스트와 튜플은 원소의 순서가 있었기 때문에 인덱스가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딕셔너리는 원소의 순서가 없어서 인덱스 자체가 없습니다. 여기서 딕셔너리 인덱싱이라고 부르는 것은 key를 이용하여 value에 접근하는 것을 말합니다. 딕셔너리를 하나 정의합시다. >>> dic1={'김정빈':75,'박한지':56,'임호정':23} >>> dic1 {'김정빈': 75, '박한지': 56, '임호정': 23} 김정빈의 점수에 접근해봅시다. >>> dic1['김정빈'] 75 2021. 10. 7. [파이썬 강의] 7.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과 슬라이싱은 원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문자열에서 원소는 한 칸에 입력된 값을 의미합니다. 영어에서는 알파벳 하나, 한글에서는 글자 하나 입니다. 인덱싱은 하나의 원소에 접근하고, 슬라이싱은 여러 원소에 접근합니다. 인덱스는 '표시, 지침'이라는 뜻입니다. 인덱싱은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너' 이렇게요. 슬라이스는 '부분,조각'이라는 뜻입니다. 슬라이싱은 한 부분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1. 인덱싱 문자열을 하나 정의해봅시다. a='python' 첫번째 원소인 p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 a[0] 'p' 여기서 인덱스는 아래와 같이 매겨집니다. [0] p [1] y [2] t [3] h [4] o [5] n [6] 번호 바로 오른쪽에 있는 원소가 출력되는 원리입니다... 2021. 9.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