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자열4

[파이썬 강의] 39. 문자열의 덧셈, 문자열의 정수 곱셈 문자열에서는 덧셈과 정수곱셈이라는 산술연산이 가능합니다. 먼저 정수 곱셈은 아래와 같습니다. >>> 'hi'*3 'hihihi' >>> 'python is good'*2 'python is goodpython is good' 곱한 정수만큼 문자열을 반복합니다. 문자열의 덧셈은 실제로도 자주 쓰이는 연산입니다. 아래와 같이 문자열을 연결해줍니다. >>> 'python'+'is'+'good' 'pythonisgood 제가 주로 사용했던 상황은 파일경로였습니다. 어떤 폴더 안에 1,2,3,4,5 라는 이름의 텍스트 파일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고 합시다. 이 폴더 각각에 순차적으로 접근할 때, 아래의 폴더 이름 부분을 자동으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폴더 경로/'+'폴더이름'+'.txt' for 문을 이.. 2021. 10. 13.
[파이썬 강의] 8. 문자열 요소 변경하다 실패하기 지난시간에 배운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문자열의 요소를 변경할 수 있을것 같죠? 문자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a='python' >>> a 'python' 첫글자를 b로 바꿔봅시다. >>> a[0]='b'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a[0]='b' TypeError: 'str'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안바뀝니다. 문자열에서는 인덱싱을 이용하여 요소를 변경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자료구조중에 리스트를 배우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문자열 원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배워봅시다. 2021. 9. 28.
[파이썬 강의] 5. 문자열 안에 따옴표 사용하기 파이썬 "너무" 좋아 라는 문자열을 입력하고 싶다고 합시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파이썬 "너무" 좋아" SyntaxError: invalid syntax 파이썬이 인식하기로 "파이썬 " 이 하나의 문자열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파이썬이 보기에 너무는 아무 따옴표도 없이 입력된 것입니다. 이런 경우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 '파이썬 "너무" 좋아' '파이썬 "너무" 좋아'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2021. 9. 27.
[파이썬 강의] 4. 자료형 - 문자열 파이썬 자료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숫자형 - 문자열 - 논리형 이번 시간에는 문자열에 대해 배워봅시다. 문자열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존재하는 자료형입니다.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정의합니다. >>> a='hi hello' >>> a 'hi hello' 이번에는 큰따옴표롤 이용하여 문자열을 정의해봅시다. 출력은 작은따옴표로 됩니다. >>> b="python is good" >>> b 'python is good' 타입을 확인해봅시다. >>> type(a) 2021.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