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b와 gsub 함수는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대체하는 함수입니다. sub는 대체하다라는 뜻의 substitute 의 약어인 것 같습니다. sub 함수는 가장 첫번째 문자만을 대체하고, gsub는 전체 문자를 대체합니다. g는 global 이 아닐까요.
예시를 통해 알아봅시다. 문자열 x를 하나 만들어봅시다.
x='hi hi hi'
sub 함수로 첫번째 문자 hi를 hello 로 바꿔봅시다.
> sub('hi','hello',x)
[1] "hello hi hi"
이번에는 gsub 함수로 모든 hi를 hello 로 바꿔봅시다.
> gsub('hi','hello',x)
[1] "hello hello hello"
반응형
'R 주제 > R 기초 및 통계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R강의] 156. 결측치를 확인하는 두가지 함수 (complete.cases, is.na) (0) | 2023.04.25 |
---|---|
[R강의] 155. 데이터프레임의 여러 열을 합쳐서 변수와 값으로 만들기 (melt) (0) | 2023.04.15 |
[R강의] 153. 함수에 인자를 여러 조합으로 입력하는 방법 (mapply) (0) | 2023.04.07 |
[R강의] 152. 벡터의 그룹별로 함수 적용하기 (tapply) (0) | 2023.04.05 |
[R강의] 151. 리스트의 각 원소에 함수 적용하기 (sapply, lapply) (0) | 2023.04.04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