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프레임을 하나 정의합시다.
A=c(1,2,3)
B=c(4,5,6)
C=c(7,8,9)
df=data.frame(A,B,C)
> df
A B C
1 1 4 7
2 2 5 8
3 3 6 9
열 이름은 names 함수로 가져옵니다.
> names(df)
[1] "A" "B" "C"
행이름은 rownames 로 가져옵니다.
> rownames(df)
[1] "1" "2" "3"
열 이름과 행 이름을 수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names(df)=c('C1','C2','C3')
rownames(df)=c('R1','R2','R3')
> df
C1 C2 C3
R1 1 4 7
R2 2 5 8
R3 3 6 9
반응형
'R 주제 > R 기초 및 통계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R강의] 141. library 와 require 의 차이 (3) | 2023.02.27 |
---|---|
[R강의] 140. 데이터 프레임을 쉽게 조작하는 transform 함수 (0) | 2023.02.27 |
[R강의] 138. 데이터프레임 행 추가할 때 리스트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0) | 2023.01.31 |
[R강의] 137. 데이터프레임 결합의 끝판왕 (merge) (0) | 2023.01.31 |
[R강의] 136. rbind로 데이터프레임들 결합할 때, 구분하는 열 추가하기 (0) | 2023.01.31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