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넘파이 패키지의 배열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벡터를 정의하고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해봅시다.
먼저 넘파이 패키지를 불러옵시다.
>>> import numpy as np
행렬은 리스트를 중첩하여 정의합니다.
>>> m1=np.array([[1,2],[3,4]])
위 행렬은 아래와 같은 행렬입니다.
[1234]
인덱싱은 리스트의 인덱싱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2라는 원소에 접근하고 싶은 경우, [1,2]라는 원소에 먼저 접근하고 나서 2에 접근하면 됩니다.
>>> m1[0]
array([1, 2])
>>> m1[0][1]
2
배열의 경우 아래와 같이 입력해도 인덱싱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 m1[0,1]
2
슬라이싱을 해보기 위해 다른 행렬을 하나 정의하겠습니다.
>>> m2=np.array([[1,2,3],[4,5,6],[7,8,9]])
>>> m2
array([[1, 2, 3],
[4, 5, 6],
[7, 8, 9]])
2행의 5,6에 접근해봅시다.
>>> m2[1]
array([4, 5, 6])
>>> m2[1,1:3]
array([5, 6]
반응형
'파이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의] 52. 2차원 배열(행렬)의 행렬곱 (0) | 2021.10.14 |
---|---|
[파이썬 강의] 51. 2차원 배열(행렬)의 산술연산 (0) | 2021.10.14 |
[파이썬 강의] 49. 1차원배열(벡터)의 산술연산 (0) | 2021.10.14 |
[파이썬 강의] 48. 1차원 배열(벡터)의 정의, 인덱싱, 슬라이싱 (0) | 2021.10.14 |
[파이썬 강의] 47. 자료구조 - 배열 (Numpy Array) (0) | 2021.10.14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