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합을 하나 정의합시다.
>>> set1={1,2,3}
>>> set1
{1, 2, 3}
원소를 하나 추가할 때는 add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set1.add(100)
>>> set1
{1, 2, 3, 100}
여러 원소를 추가할 때는 updat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메소드 안에 리스트로 입력해야 합니다.
>>> set1.update([4,5,6])
>>> set1
{1, 2, 3, 100, 4, 5, 6}
반응형
'파이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의] 32. 집합 연산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0) | 2021.10.07 |
---|---|
[파이썬 강의] 31. 집합의 원소 제거하는 법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9. 집합의 원소로 사용가능한 자료구조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8. 자료구조 - 집합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7. 딕셔너리에서 key 또는 value만 추출해서 list로 변환 (0) | 2021.10.07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