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덱싱이라고 부르긴 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인덱싱이 아닙니다. 리스트와 튜플은 원소의 순서가 있었기 때문에 인덱스가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딕셔너리는 원소의 순서가 없어서 인덱스 자체가 없습니다. 여기서 딕셔너리 인덱싱이라고 부르는 것은 key를 이용하여 value에 접근하는 것을 말합니다.
딕셔너리를 하나 정의합시다.
>>> dic1={'김정빈':75,'박한지':56,'임호정':23}
>>> dic1
{'김정빈': 75, '박한지': 56, '임호정': 23}
김정빈의 점수에 접근해봅시다.
>>> dic1['김정빈']
75
반응형
'파이썬 > 통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의] 25. 딕셔너리 원소 추가하기 (0) | 2021.10.07 |
---|---|
[파이썬 강의] 24. 딕셔너리 원소 삭제하기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2. 딕셔너리 value의 특징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1. 딕셔너리 key의 특징 (0) | 2021.10.07 |
[파이썬 강의] 20. 자료구조 - 딕셔너리 (0) | 2021.10.07 |
댓글
만다린망고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